1522-7054
대표번호
1522
7054
엘지유플러스
SK인터넷
케이티인터넷
CJ헬로인터넷

질문게시판

공유하기

인터넷+TV 신규 가입할 때 무조건 3년 약정으로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번에 이사를 하면서 인터넷이랑 TV를 새로 설치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알아보니 대부분 인터넷 가입은 3년 약정 기준으로 안내하더라고요. 1년이나 2년 같은 단기 약정은 없는 건가요? 아니면 단기 약정이 가능하더라도 혜택이 적어서 다들 3년을 추천하는 건가요?
인터넷이랑 IPTV 둘 다 같이 설치할 예정인데, 3년 약정만 가능한 건지 궁금합니다. 요즘은 중간에 해지하면 위약금도 높다던데 좀 망설여지네요. 그리고 결합 상품도 같이 알아보고 있는데, 이런 건 약정 기간이 또 따로 정해지나요?
기왕이면 혜택도 좋은 쪽으로 가입하고 싶어서 여기 게시판에 먼저 여쭤봅니다.

 
공유하기
등록자

노진호

등록일
2025-05-28 09:31
조회
12

[RE] 인터넷+TV 신규 가입할 때 무조건 3년 약정으로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노진호고객님!


믿고 찾아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모든 상담원이 통화중으로, 상담이 종료되는대로 빠르게 답변 남겨놓도록 하겠습니다~=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등록자

INT통신

등록일
2025-05-28 09:32
조회
9

[RE] 인터넷+TV 신규 가입할 때 무조건 3년 약정으로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방효남입니다~ 문의 주신 부분 정말 잘 짚으셨어요!
요즘 인터넷 가입할 때 가장 많이들 궁금해하시는 내용이 바로 이 '약정 기간' 관련된 부분이거든요. 

 먼저 결론부터 말씀드릴게요!
인터넷이나 IPTV 가입은 대부분 3년 약정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어요.
왜냐하면 통신사들이 3년 약정을 기준으로 지원금(사은품 포함)이나 요금 할인을 제공하기 때문이에요. 

1년 약정도 물론 '가능'하긴 합니다. 다만…

  • 요금 할인이 거의 없고요 

  • 사은품도 거의 안 나와요 

  • 특히 TV까지 묶으시면 셋톱박스 임대료도 따로 더 붙고요 

 2년 약정은요?
일부 통신사에서 가능은 하지만, 요금 자체가 거의 3년 약정과 비슷하거나 더 비싸고, 혜택은 줄어요 
결국 소비자 입장에서는 3년 약정이 가장 합리적인 선택이 되는 구조죠. 

 그리고 요즘 위약금도 걱정하시는데요, 중간 해지를 하시더라도 사용 개월 수에 따라 나눠서 계산되기 때문에
"3년을 다 안 채워도 폭탄 맞는다" 이런 건 아닙니다.
단, 사은품 부분은 개통 후 1년 이내 해지 시엔 반환 조건이 있는 경우도 있어서 꼭 상담받고 가입하시는 게 좋아요! 

 결합상품에 대한 질문도 주셨는데요,
결합도 보통 인터넷 약정 기간이랑 같이 갑니다. 예를 들어 가족 핸드폰을 결합한 경우, 핸드폰 쪽은 별도로 위약금 없이 유지되지만, 인터넷 쪽 약정이 끝나면 재약정이 필요하죠.
그래서 결합할 경우, 가입자 입장에서는 오히려 3년 약정이 이득인 구조가 많습니다 

 실제로도 저희 상담 들어오는 분들 거의 95% 이상이 3년 약정으로 가입하세요!
단기 약정은 솔직히 실익이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정리하자면!
3년 약정이 기본처럼 굳어진 건 그만큼 소비자에게 혜택이 집중되어 있어서예요.
1~2년 약정이 안 되는 건 아니지만, 금액과 사은품 모두 손해 보는 구조고요.
그래서 저희도 항상 고객님 상황에 맞게 꼼꼼히 비교해드린 후, 3년 약정 추천드리고 있어요!

 더 자세한 조건이나, 사은품 금액, 결합 할인까지 정확하게 체크해드릴 수 있으니까요~
시간 괜찮으실 때 편하게 연락 주세요! 

INT통신 1522-7054 / 010-9311-7054 (운영시간 09:00~18:30)
확실한 조건으로 든든하게 가입 도와드릴게요! 감사합니다!

등록자

INT통신

등록일
2025-05-28 09:32
조회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