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22-7054
대표번호
1522
7054
엘지유플러스
SK인터넷
케이티인터넷
CJ헬로인터넷

질문게시판

공유하기

재약정 vs 신규가입

3년 전에 SK로 인터넷 신규 가입하면서 상품권과 요금 할인을 꽤 많이 받았는데,
최근 약정 만료가 다가와서 재약정 조건을 확인해보니 사은품도 줄고 할인도 별로 없습니다.
예전보다 조건이 안 좋은데 그대로 재약정하는 게 맞는 건지 고민되고,
차라리 해지하고 타사로 이동하는 게 더 나은 선택인지 판단이 안 서네요.
이런 경우 어떻게 결정하는 게 유리할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공유하기
등록자

남우식

등록일
2025-04-25 16:03
조회
38

[RE] 재약정 vs 신규가입

고객님, 안녕하세요? INT통신의 김현수 입니다^^


소중한 시간 내주시어 문의 글도 남겨주시고 정말 감사드립니다


모든 상담원이 열정을 다해 상담중이라, 통화가 종료 되는대로 빠르게 답변드릴수 있도록 할께요~!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

등록자

INT통신

등록일
2025-04-25 16:04
조회
34

[RE] 재약정 vs 신규가입

안녕하세요, INT통신 김현수 과장입니다.
재약정 시점이 다가올수록, 과거보다 조건이 줄어들거나 불리하게 느껴지는 상황에 많이들 고민하십니다.
특히 통신사들이 신규 가입자 중심으로 마케팅을 집중하다 보니,
기존 고객은 상대적으로 재약정 조건이 박하게 느껴질 수밖에 없는 구조가 자리 잡고 있죠.
아래에 상황별 전략과 판단 기준을 자세히 안내드리겠습니다.


1. 현재 조건이 '정상'인지 먼저 판단해야 합니다

우선 통신사들이 제시하는 재약정 조건은 대개 다음과 같은 틀을 따릅니다:

  • 사은품 금액: 보통 신규보다 30~50% 낮음

  • 요금 할인: 장기 고객 할인 + 재약정 할인으로 일부 월 요금 감면

  • 상품 업그레이드 제안: IPTV 업그레이드, 기가 전환 등 조건부 혜택

예를 들어,
▶ 3년 전 신규 가입 시 상품권 46만 원을 받으셨다면
▶ 현재 재약정 조건이 상품권 15~20만 원 수준이라면
→ 통신사 입장에서는 ‘평균 수준’의 제안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조건이 고객에게 ‘합리적’인지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2. 재약정 조건이 약해지는 이유

최근 1~2년 사이 재약정 조건이 약화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정부의 과도한 마케팅 비용 억제 정책

  • 신규 가입자 유치 비용 대비 기존 고객 유지 비용 절감 기조

  • 과거보다 상품권 액수가 전체적으로 줄어드는 추세

즉, 통신사 입장에서는 **“잡은 물고기에는 먹이를 덜 준다”**는 구조가 현실적으로 고착화된 셈입니다.


3. 유지 vs 이동 판단 기준

그렇다면 이런 상황에서 재약정을 그대로 할지, 아니면 해지 후 타사로 이동할지 판단 기준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등록자

INT통신

등록일
2025-04-25 16:04
조회
32
질문게시판
번호제목이름등록일상태
1047인터넷 티비 문의1양수호2023-05-09
답변완료
1046법인 이름으로 가입하면 어떻게 되나요?2(주)피플로우2023-05-12
답변완료
1045비밀글 티비 + 인터넷 결합하려합니다2조○○2023-05-15
답변완료
1044인터넷 추가 가입1상헌2023-05-16
답변완료
1043사업장 신규 가입1인사이드2023-05-17
답변완료
1042비밀글 신축공장 인터넷 개통가능?1선○○2023-05-22
답변완료
1041비밀글 2년 경과 해지 및 가입 문의1김○○2023-05-22
답변완료
1040비밀글 3년이 지나서 다시 가입하려고 합니다.1울○○2023-05-22
답변완료
1039비밀글 안녕하세요 문의드립니다1임○○2023-05-23
답변완료
1038비밀글 인터넷 신규가입문의1신○○2023-05-23
답변완료